-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실행 1단계: 기술 정보화 > 기술 동향 > 기술 관심도
1. 인공 지능 기술 정보화: 관련 데이터 수집 |
인공 지능 기술 동향: 세 가지 기술 동향 지수 |
1. 인공 지능 기술 관심도 |
2. 인공 지능 기술 성숙도 | ||
3. 인공 지능 기술 수용도 |
- 기술 투자 분석 실행 첫 단계인 기술 정보화로 인공 지능 관련 데이터 수집
- 수집 데이터 기반 세 가지 기술 동향 지수로 인공 지능 기술 동향 파악
- 본 포스팅은 인공 지능 기술 동향 지수 중 기술 관심도 소개
1. 인공 지능 기술 동향: 기술 관심도
인공 지능 기술 관심도: | 인공 지능 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기대, 인지도 |
인공 지능 기술 관심도 관련 주요 사이트: |
구글 트렌드: 2004 ~ 현재 네이버 데이터랩: 2016 ~ 현재 카카오 데이터 트렌드: 2018 ~ 현재 구글북스 앤그램 뷰어: 1800 ~ 2019 |
기술 관심 주기: | Hype cycle: 기술 관심도의 일반적인 주기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람들의 기술에 대한 관심. 1995년 by 가트너사 개발 |
1.1 인공 지능 기술 관심도:
- 인공 지능 기술의 초기 기술적 관심, 기대치에 대한 올바른 인지 및 판단이 투자 분석 핵심.
- 인공 지능 기술의 현재 위치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위해 다양한 인공 지능 관련 데이터 수집 필요.
- 관련 데이터 기반해 인공 지능 기술 동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 동향 지수 수립이 필요.
- 인공 지능 기술 관심도는 초기 기술 태동 시, 사람들이 인공 지능에 기대하는 기술 동향 지수.
1.2 인공 지능 기술 관심도 관련 주요 사이트:
- 구글 트렌드 사이트, 분석 방법, 결과:
* 시간 흐름에 따른 관심도 변화 수치는 특정 지역 및 기간을 기준으로 차트에서 가장 높은 지점 대비 검색 관심도를 나타냄. 값은 검색 빈도가 가장 높은 검색어의 경우 100, 검색 빈도가 그 절반 정도인 검색어의 경우 50, 해당 검색어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0으로 나타남. 관심 검색어에 대해 지역별, 기간별 항목별, 출처별 조합으로 검색할 수 있음
트렌드 그래프의 실제 데이터 값을 CSV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의 모델링 기능을 이용하여 기술 관심 모델을 구축 할 수 있고 시뮬레이션도 가능함. 이렇게 생성된 기술 관심 모델과 기술 주기와의 (Hype cycle) 매칭으로 관심 기술의 현재 위치를 추정할 수 있음. 이후 추정된 기술 위치에 근거한 기술 평가 후 투자 결정
- 네이버 데이터랩 사이트: 검색어 트렌드
- 카카오 데이터트렌드: 검색어 인사이트
- 구글북스 앤그램 뷰어: 구글 보유 전자 도서 DB 사이트
* 구글북스 앤그램 뷰어는 장기 트렌드 파악에 적합. 1800년도 부터 검색이 가능하며 DB는 저장된 도서의 본문으로 현재 2019년도 까지 검색 가능함
1.3 기술 관심 주기:
- 하이프 사이클: 기술 관심도의 일반적인 주기로 신 기술의 전형적인 진보 현상을 설명함. 하이프 사이클에 나타난 심리적인 편향을 (기술 거품/과장) 인지하는 것은 성공적인 개발, 투자를 이끄는 핵심 사항임.
- 추후 구축할 인공 지능 기술 관심도 모델을 하이프 사이클에 매칭시킨 후, 인공 지능 기술 관심도의 현 위치를 추정하여 인공 지능 기술 평가를 통한 투자 심의에 반영.
# 본 내용은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이며,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 및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인공 지능 기술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성숙도 맵핑 (0) | 2022.07.27 |
---|---|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관심도 맵핑 (0) | 2022.07.26 |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성숙도 모델 (0) | 2022.07.20 |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관심도 모델 (0) | 2022.07.11 |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성숙도 (0) | 2022.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