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실행 1단계: 기술 정보화 > 기술 동향 > 기술 성숙도
1. 인공 지능 기술 정보화: 관련 데이터 수집 |
인공 지능 기술 동향: 세 가지 기술 동향 지수 |
1. 인공 지능 기술 관심도 |
2. 인공 지능 기술 성숙도 | ||
3. 인공 지능 기술 수용도 |
-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실행 중 기술 정보화 단계로 인공 지능 관련 데이터 수집
- 수집 데이터 기반 세 가지 기술 동향 지수로 인공 지능 기술 동향 파악
- 본 포스팅은 인공 지능 기술 동향 지수 중 기술 성숙도 소개
1. 인공 지능 기술 동향: 기술 성숙도
인공 지능 기술 성숙도: | 기술에 대한 전문성 및 기술의 진보성 |
인공 지능 기술 성숙도 관련 주요 사이트: |
구글 특허: ~ 현재 구글 학술: ~ 현재 구글 검색: ~ 현재 |
기술 성숙 주기: | S-curve: 기술 성숙도의일반적인 주기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술의 성장을 설명하는 곡선 |
1.1 인공 지능 기술 성숙도:
- 인공 지능 기술의 기술적 성장에 대한 올바른 분석이 투자 시기, 규모의 판단 시 핵심 정보.
- 인공 지능 기술 수준의 현재 위상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위해 다양한 관련 데이터 수집 필요.
- 관련 데이터 기반해 인공 지능 기술 수준을 파악 할 수 있는 기술 동향 지수 수립 필요.
- 인공 지능 기술 성숙도는 전문적인 인공 지능 연구, 개발 관련 기술 동향 지수.
1.2 인공 지능 기술 성숙도 관련 주요 사이트:
- 구글 특허
- 구글 학술검색
- 구글 검색: 웹정보 (뉴스, 동영상, 도서, 이미지...)
- 연도별 웹사이트 개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술 성숙도 모델 구축 가능. 트렌드 기반의 기술 관심 모델로 위치 추정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기술의 현재 위치 추정 가능
1.3 기술 성숙 주기: 실제 주기는 여러 세대를 걸쳐 형성됨
- 1차 S-curve, 2차 S-curve: 1차 성장 곡선의 성숙기에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며 2차 성장 곡선 (대체 기술)의 출현
- 통합 S-curve: 단속적 기술의 (작은 s-curve) 주기적 출현으로 형성된 전형적인 기술 성숙 주기, 아래 그래프에서는 4세대의 작은 s-curve가 하나의 통합 S-curve를 형성하고 있음. 해당 산업/제품 주기의 쇠퇴와 더불어 통합 S-curve의 쇠퇴가 도래함.
- 기술 성숙도에 근거 생성된 기술 성숙 모델과 기술 성숙 주기와의 (S-curve) 매칭으로 인공 지능 기술의 현재 성장 위치를 추정할 수 있음. 이후 추정된 기술 위치에 근거한 의사 결정.
# 본 내용은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이며,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 및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인공 지능 기술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성숙도 맵핑 (0) | 2022.07.27 |
---|---|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관심도 맵핑 (0) | 2022.07.26 |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성숙도 모델 (0) | 2022.07.20 |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관심도 모델 (0) | 2022.07.11 |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관심도 (0) | 2022.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