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 포트폴리오25

Tiger 반도체 ETF, 미래에셋 자산운용 (2023년 11월 30일 기준): 기하평균 수익률/샤프지수/수익 기반 비즈맵 분석 본 포스팅은 아래 사이트에 소개된 반도체 ETF 상품의 상장 후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이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자료도 기하평균 수익률, 기하평균 샤프지수, 기하 평균 수익 기반으로 분석된 투자 평가 지수*를 반영하여 작성하였다. * 기하평균 수익률: 5기간 (1주, 1개월, 1분기, 1반기, 1년) 개별 수익률의 기하평균 값 기하평균: 어떤 수를 곱해서 뒤의 수가 결정되는 수들에 대한 평균 (GM, geometric mean, 위 식) 기하평균 샤프지수: 기하평균 / 기하평균 편차 기하 평균 수익: 1주~1년 기간 기하평균 수익률*평가금액 (기대 수익) 1. TIGER 반도 ETF: 4차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반도체 관련 기업에 분산투자 https://www.tigeretf.com/ko/produ.. 2023. 12. 2.
ChatGPT (Generative AI) 선정 기업 백테스트: 브릿지텍, 셀바스AI, 이스트소프트, 영림원소프트랩, 인포뱅크 ChatGPT (Generative AI) 선정 기업 백테스팅: 포트폴리오 구성 10% 이상 기업 본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 자료인 인공지능 혁신 의료기기 포트폴리오 결과를 바탕으로 백테스팅한 결과이다. ChatGPT (Generative AI) 기업 현황/분석/포트폴리오 I: 브릿지텍, 코난테크놀로지, 셀바스AI, 이스트소프트, 솔트룩스, 영림원소프트랩, 데이타솔루션, 플리토, 리노스, 글로벌텍스프리, 마인즈랩.. (tistory.com) ChatGPT (Generative AI) 기업 현황/분석/포트폴리오 II: 영림원소프트랩, 인포뱅크, 데이터솔루션, 셀바스AI, 브리지텍, 이스트소프트, 리노스 (tistory.com) 백테스팅 프로그램은 아래의 인베스트 헬퍼 사이트를 참조하였다. Invest Hel.. 2023. 7. 26.
인공지능 혁신 의료기기 선정 기업 백테스트: 제이엘케이, 뷰노, 루닛, 라온피플, 미래컴퍼니 인공지능 혁신 의료기기 선정 기업 백테스팅: 포트폴리오 구성 10% 이상 기업 본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 자료인 인공지능 혁신 의료기기 포트폴리오 결과를 바탕으로 백테스팅한 결과이다. 인공지능 혁신 의료기기 선정 기업 현황/분석/포트폴리오 I: 제이엘케이, 뷰노, 루닛, 라온피플, 미래컴퍼니 (tistory.com) 백테스팅 프로그램은 아래의 인베스트 헬퍼 사이트를 참조하였다. Invest Helper (backtest.kr) Invest Helper backtest.kr - 백테스트 옵션: - 백테스트 분석 요약: 요약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포트폴리오 기반 투자 기간 내 연이율은 -37.19%로 KOSPI (-11.57%), KOSDOC (-16.53%) 연이율 보다 낮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202.. 2023. 7. 23.
인공지능 신약 개발 선정 기업 대상 리스크 관리 기반의 투자 실행: 엔솔바이오사이언스 주가 동향 및 최적 투자 범위 & 시기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보건복지부와 함께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 (2019 ~ 2021)'을 통해 인공지능 신약 개발 연구개발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인공지능 활용 혁신신약 발굴사업 (2022 ~ 2026)'은 인공지능 모형 추가 개발을 통해 공공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플랫폼을 직접 활용해 임상시험계획 (IND)을 신청할 수 있는 수준의 신약후보 물질을 개발함으로써 인공지능 활용 신약 개발의 구체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후속 사업으로 진행 중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의 AI신약개발지원센터 (AI 센터)가 신약개발 단계별로 선정한 기업 중 상장된 2개의 기업을 (신테카바이오, 엔솔바이오) 선별하였고 (아래 링크, 신약개발 단계별 AI 플랫폼, 비즈맵, 투자지수, 포트폴리오맵 .. 2023. 3. 12.
인공지능 신약 개발 선정 기업 대상 리스크 관리 기반의 투자 실행: 신테카바이오 주가 동향 및 최적 투자 범위 & 시기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보건복지부와 함께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 (2019 ~ 2021)'을 통해 인공지능 신약 개발 연구개발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인공지능 활용 혁신신약 발굴사업 (2022 ~ 2026)'은 인공지능 모형 추가 개발을 통해 공공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플랫폼을 직접 활용해 임상시험계획 (IND)을 신청할 수 있는 수준의 신약후보 물질을 개발함으로써 인공지능 활용 신약 개발의 구체적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후속 사업으로 진행 중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의 AI신약개발지원센터 (AI 센터)가 신약개발 단계별로 선정한 기업 중 상장된 2개의 기업을 (신테카바이오, 엔솔바이오) 선별하였고 (아래 링크, 신약개발 단계별 AI 플랫폼, 비즈맵, 투자지수, 포트폴리오맵 .. 2023.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