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0

뮤직카우 음원 포트폴리오 vs 미래에셋 Tiger200 ETF 본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에 소개된 뮤직카우의 저작권 투자 플랫폼에서 거래 중인 음원 포트폴리오와 대한민국 대표 우량기업 200개 종목에 분산투자한 Tier200 EFT와의  투자지수 비교분석이다. 뮤직카우는 아티스트만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졌던 저작권료를 누구나 매월 받아볼 수 있는 동시에 자유로운 거래로 추가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자산 음악 수익증권으로 분류하였고 (음악저작권료참여청구권, 자본시장법 상 투자계약증권으로 분류됨) 현재 관련 시스템을 통해 기준일자 7월 24일 기준 1,104 곡이 거래 중이다. 뮤직카우의 수익구조는 이전 포스팅에 소개된 바와 같이 음악 수익증권을 통해 매월 저작권료 수익과 더불어 거래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매월 정산되는 저작권료 배당수익은 새로운 재.. 2024. 7. 27.
뮤직카우 수익증권 분석: 태양의 그림자 운용보고서 사례 본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에 소개된 뮤직카우의 저작권 투자 플랫폼에서 거래 중인 음원 포트폴리오의 투자지수 분석이다. 뮤직카우는 아티스트만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졌던 저작권료를 누구나 매월 받아볼 수 있는 동시에 자유로운 거래로 추가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자산 음악 수익증권으로 분류하였고 (음악저작권료참여청구권, 자본시장법 상 투자계약증권으로 분류됨) 현재 관련 시스템을 통해 7월 20일 현재 1,103 곡이 거래 중이다. 뮤직카우의 수익구조는 이전 포스팅에 소개된 바와 같이 음악 수익증권을 통해 매월 저작권료 수익과 더불어 거래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매월 정산되는 저작권료 배당수익은 새로운 재원으로 분류되며, 매월 저작권료 수입에 근거한 배당가능이익은 저작권료 수익에서 운용수익 지.. 2024. 7. 20.
뮤직카우 저작권 투자 플랫폼: 음악저작권료 참여정구권 본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에 이은 음악 수익증권 관련 정보로, 뮤직카우의 저작권 투자 플랫폼에서 거래 중인 음원 및 투자지수 기반 포트폴리오 소개다. 뮤직카우는 아티스트만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졌던 저작권료를 누구나 매월 받아볼 수 있는 동시에 자유로운 거래로 추가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자산 음악 수익증권으로 분류하였고 (음악저작권료참여청구권, 자본시장법 상 투자계약증권으로 분류됨) 현재 관련 시스템을 통해 7월 16일 현재 1,103 곡이 거래 중이다. 뮤직카우의 수익구조는 이전 포스팅에 소개된 바와 같이 음악 수익증권을 통해 매월 저작권료 수익과 더불어 거래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이라 할 수 있다.  아래 테이블은 2024년 7월 14일 뮤직카우 마켓데이터 기준으로 작성한 자료이며, 투자지수는 시가 총액.. 2024. 7. 18.
음원 투자 및 포트폴리오 1 : 저작권 투자 플랫폼 뮤직카우 본 포스팅은 음악 수익증권 관련 정보로, 저작권 투자 플랫폼을 구축한 뮤직카우의 음원투자 사업모델 및 음원 포트폴리오 소개다. 아티스트만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졌던 저작권료를 누구나 매월 받아볼 수 있는 동시에 자유로운 거래로 추가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자산의 음악 수익증권으로 분류하였고 (음악저작권료참여청구권, 자본시장법 상 투자계약증권으로 분류됨) 현재 관련 시스템을 통해 거래 중이다. 뮤직카우의 수익구조는 아래와 같고 음악 수익증권을 통해 매월 저작권료 수익과 더불어 거래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다.(뮤직카우 음악수익증권 투자백서에서 발췌)  뮤직카우는 저작권의 권리 중 현행법 상 양도가 가능하고, 저작권으로부터 발생되는 금전적인 권리가 포함된 재산권과 인접권을 권리자로부터 양도받아 음악.. 2024. 7. 13.
Tiger 200 ETF, 미래에셋 포트폴리오 자산운용 평가 분석 (2023년 4Q 기준): 기간 별 수익률 분포도 & 관련 기업 순위 본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소개된 Tiger 200 ETF 상품의 2023년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이다. 기간별 기하평균 수익률*, 기하평균 샤프지수, 기하 평균 수익 기반으로 분석된 평가 지수로 포트폴리오 내 기업들의 분포도를 생성하였다. 더불어 해당 기업을 순위화 하였고 선정된 기업을 정리 (top 10), 소개하였다. * 기하평균 수익률: 5기간 (1주, 1개월, 1분기, 1반기, 1년) 개별 수익률의 기하평균 값 기하평균: 어떤 수를 곱해서 뒤의 수가 결정되는 수들에 대한 평균 기하평균 샤프지수: 기하평균 / 기하평균 편차 기하 평균 수익: 1주~1년 기간 기하평균 수익률*평가금액 (기대 수익) 1. TIGER 200 ETF: 대한민국 대표 우량기업 200개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ETF (출처: 미래.. 2024.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