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에서는 아래 테이블의 신 기술 투자 분석 & 실행 로드맵 1단계의 기술 정보화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관심 및 기대를 받고 있는 바이오 기술의 관심, 성숙, 수용 동향 (바이오 기술 정보화) 파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 한 바와 같이 초기 신 기술의 기대에 대한 심리적 편향을 인지하고 기술의 성장 및 수요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를 이끄는 시작이자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투자를 위한 신 기술의 평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정보는 신 기술의 관심/성숙/수용 지수 및 이러한 기술 지수의 현재 위치 파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신 기술 관련 데이터를 수집, 정리한 기술 동향 지수 및 이를 정량화 한 기술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 이어서 기술 모델을 검증된 기술 주기와 비교, 매칭 (맵핑) 후 기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기술 모델과 검증된 기술 주기와의 적합도를 산정하여 해당 기술 투자 심의 시 반영한다.
신 기술 투자 분석 & 실행 로드맵 (링크 참조):
기술 분석 \ 기술 주기 |
기술 관심 주기: Hype cycle |
기술 성숙 주기: S-curve |
기술 수용 주기: Adoption cycle |
1. 기술 정보화: 지수 | 기술 관심 지수 | 기술 성숙 지수 | 기술 수용 지수 |
2. 기술 정량화: 모델 | 기술 관심 모델 | 기술 성숙 모델 | 기술 수용 모델 |
3. 기술 시각화: 맵핑 | 기술 관심 맵핑 |
기술 성숙 맵핑 | 기술 수용 맵핑 |
4. 기술 투자화: 평가 | 기술 관심 위치 | 기술 성숙 위치 | 기술 수용 위치 |
참조: 신 기술 투자 분석 & 실행 로드맵 (tistory.com)
신 기술 투자 분석 & 실행 로드맵
신 기술 투자 시 체계적 분석 필요: 새로운 산업의 시작은 신 기술의 도래로부터 시작되고 이러한 기술적 변화는 기업, 시장, 사회의 성장동력이다. 하지만 신 기술을 대하는 투자자들은 기술과
biznavi.tistory.com
1. 바이오 기술 정보화: 데이터 수집 > 기술 동향 지수 파악
1. 바이오 기술 정보화: 관련 데이터 수집 |
바이오 기술 동향 분류: 세 가지 기술 동향 지수 |
1.1 바이오 기술 관심도 |
1.2 바이오 기술 성숙도 | ||
1.3 바이오 기술 수용도 |
- 기술 투자 분석 실행 첫 단계인 기술 정보화로 바이오 기술 관련 데이터 수집
- 수집 데이터 기반 세 가지 기술 동향 지수로 바이오 기술 동향 분류
- 세 가지 바이오 기술 동향 지수 파악: 관심도, 성숙도, 수용도
1.1 바이오 기술 관심도
바이오 기술 관심도: | 바이오 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기대, 인지도 파악 참조: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관심도 (tistory.com) |
바이오 기술 관심도 관련 주요 사이트: |
구글 트렌드: 2004 ~ 현재 구글북스 앤그램 뷰어: 1800 ~ 2019 |
검증된 기술 관심 주기: | Hype cycle: 기술 관심도의 일반적인 주기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람들의 기술에 대한 관심. 1995년 by 가트너사 개발 |
* 시간 흐름에 따른 관심도 변화 수치는 특정 지역 및 기간을 기준으로 차트에서 가장 높은 지점 대비 검색 관심도를 나타냄. 값은 검색 빈도가 가장 높은 검색어의 경우 100, 검색 빈도가 그 절반 정도인 검색어의 경우 50, 해당 검색어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0으로 나타남. 관심 검색어에 대해 지역별, 기간별 항목별, 출처별 조합으로 검색할 수 있음
바이오 기술의 구글 트렌드 데이터 (연도별 검색량)
Google Books Ngram Viewer 검색 결과: 1950년 ~ 2019년 소장 도서 DB 내 바이오 기술 단어의 연도별 비율 변화.
바이오 기술의 Google Books Ngram Viewer 데이터 (연도별 빈도수)
1.2 바이오 기술 성숙도
바이오 기술 성숙도: | 바이오 기술에 대한 전문성 및 기술의 진보성 파악 참조: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성숙도 (tistory.com) |
바이오 기술 성숙도 관련 주요 사이트: |
구글 특허: ~ 현재 구글 학술: ~ 현재 |
검증된 기술 성숙 주기: | S-curve: 기술 성숙도의 일반적인 주기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술의 성장을 설명하는 곡선 |
바이오 기술의 구글 특허 데이터 (연도별 특허 개수, 2021~22 예측)
바이오 기술의 구글 학술 데이터 (연도별 학술 개수, 2021~22 예측).
바이오 기술의 구글 검색 데이터 (연도별 웹사이트 개수)
1.3 바이오 기술 수용도
바이오 기술 수용도 | 바이오 기술 관련 투자 현황 및 기술 수요 동향 파악 참조: 인공 지능 기술 투자 분석: 기술 수용도 (tistory.com) |
바이오 기술 수용도 관련 주요 사이트: |
The VC: 1999 ~ 현재 |
검증된 기술 수용 주기: | Adoption cycle: 기술 수요 곡선, 1965 |
바이오 기술의 The VC 데이터 (연도별 투자금, 2021년 outlier). 2021년 투자액이 2조 6042억원으로 코로나 상황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투자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해 outlier로 분류하여 데이터 세트에서 제거 후 아래와 같이 수용도 파악.
바이오 기술의 The VC 데이터 (연도별 투자금, 2021~22 예측)
- 본 포스팅은 바이오 기술 투자 분석 실행 로드맵 중 첫째 단계인 기술 정보화 단계로, 바이오 기술의 관심/성숙/수용 지수 관련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어지는 포스팅은 바이오 기술 투자 분석의 둘째 단계인 바이오 기술 정량화 단계로, 각 기술 지수를 기반으로 기술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 본 내용은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이며,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 및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바이오 기술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 기술 투자 분석: 기술 투자화 (0) | 2022.11.13 |
---|---|
바이오 기술 투자 분석: 기술 시각화 (0) | 2022.11.05 |
바이오 기술 투자 분석: 기술 정량화 (0) | 2022.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