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아래 관련 사이트 기반 상품의 상장 후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이다. 지난 모멘텀 투자 지수 소개에 이어 이번 자료도 아래와 같이 기하평균 수익률, 기하평균 샤프지수, 실제 연수익 기반으로 분석된 투자 평가 지수*를 반영하여 작성하였다.
* 기하평균 수익률: 5기간 (1주, 1개월, 1분기, 1반기, 1년) 개별 수익률의 기하평균 값
기하평균: 어떤 수를 곱해서 뒤의 수가 결정되는 수들에 대한 평균
기하평균 샤프지수: 기하평균 / 기하평균 편차
실제 연간 수익: 1년 수익률*평가금액
1. TIGER 코스닥150 바이오테크 ETF: 36개 국내 제약, 바이오 기업
TIGER 코스닥150 바이오테크 | 미래에셋 TIGER ETF
미래에셋 TIGER ETF
미래에셋 TIGER ETF 공식홈페이지, 시장대표지수 및 다양한 섹터, 테마 등 국내에서 글로벌까지 ETF투자솔루션 제공
www.tigeretf.com
2. 투자 비중 기반 내림차순 정리 (분석 이전 수익률 데이터)
- 기하평균 수익률 및 관련 투자 지수 (기하평균 수익률/샤프지수/실제 연간 수익) 도출: 사프지수 내림 차순 정리
3. 비즈맵 비교 및 포트폴리오 내 기업 평가: 기하평균 수익률/샤프지수/실제 연간 수익 기반 비즈맵 비교 및 맵 위
치에 따른 기업 평가 (기하평균 수익률 10% 이상, 샤프지수 1 이상, 실제 연간 수익은 기준 없음)
- 기하평균 수익률/샤프지수/실제 연간 수익 기반 비즈맵
본 포스팅에서는 미래에셋 자산운용 TIGER 코스닥150 바이오테크 ETF의 36개 국내 제약, 바이오기업 포트폴리오를 기하평균 수익률을 반영한 새로운 투자 평가 지수방식으로 분석한 비즈맵을 비교 소개하였다. 새롭게 도출된 지수는 기하평균 수익률 (5개 평가 기간의 곱에 대한 평균), 기하평균 샤프지수 (기하평균/기하평균 편차), 실제 연간 수익으로 최근 1년 기간 동안의 움직임에 따른 수익률의 추세, 관성을 분석한 지표이다. 기존의 산술평균을 기반으로 반영한 평가 지수 대신 1년 동안의 복리개념 수익이 반영된 평가 지수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역동적이며 실질적인 수익성이 반영된 분석이라 하겠다. 이에 향후 수익의 방향 및 추정에 더욱 적합한 자료라 생각된다. 이전 분석 데이터와 비교 시 기하평균 수익률에 따른 선정 기업 및 해당 지수 값에 변동에 근거해 향후 주가 동향 및 수익 추정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다고 하겠다.
여러 가지 투자 지수 평가, 포트폴리오 구축 다각화 및 최적화 방식을 적용하여 분석한 바이오, 헬스케어 기업의 가상 투자 및 수익률 분석을 진행 중이며, 이에 따른 ETF 포트폴리오 및 기업 선별 방식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더불어 기업 평가 지수와 투자 평가 지수의 상관관계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 효과적인 최적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자 한다.
# 본 내용은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이며,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 및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바이오 포트폴리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ER KRX 바이오 K-뉴딜 ETF: (2023년 10월 27일 기준): 기하평균 수익률/샤프지수/수익 기반 비즈맵 분석 (0) | 2023.11.06 |
---|---|
TIGER 코스닥150 바이오테크 & TIGER KRX 바이오 K-뉴딜 ETF 수익률 비교 (1) | 2023.08.21 |
TIGER 코스닥150 바이오테크, 미래에셋 자산운용: 셀트리온헬스케어 외 35개 기업 (0) | 2023.08.19 |
TIGER KRX 바이오 K-뉴딜 ETF, 미래에셋 자산운용: SK바이오사이언스 외 9개 기업 (0) | 2023.08.15 |
코액트 (KoAct) 바이오헬스케어 액티브 1호, 삼성액티브자산운용 상장지수펀드 (ETF): 유한양행,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외 25개 기업 (1) | 2023.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