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 포트폴리오

ChatGPT (Generative AI) 기업 현황/분석/포트폴리오 II: 영림원소프트랩, 인포뱅크, 데이터솔루션, 셀바스AI, 브리지텍, 이스트소프트, 리노스

by biznavi 2023. 2. 10.
반응형

챗GPT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투자한 AI 스타트업, 오픈AI (OpenAI)가 개발한 인공지능 언어 모델로 실제 인간과 상당히 비슷한 대화가 가능한 인공지능 (AI) 챗봇 서비스다.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다. '미리 학습(Pre-trained)'해서 문장을 '생성 (Generative)'할 수 있는 AI라는 의미다. 챗GPT는 문장형 요청을 통해 검색, 작문, 코딩 등 작업이 가능하다. 오픈AI는 일론머스크와 샘 알트만이 2015년 12월 공동 설립한 인공지능 연구소로 인류에게 이익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2년 11월 말 오픈AI는 챗GPT 3.5 시리즈 모델을 대중에 공개했다. 

 

대화 전문 AI인 챗GPT는 대화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에 맞춰 대화하는 AI 서비스로, 인터넷에서 얻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한 기계학습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전문가 수준으로 글을 써낼 수 있어 직접 논문을 쓰는 것은 물론 그렇게 작성한 에세이로 미국 로스쿨 시험에 합격하기까지 한다. 미국 명문 경영전문대학원 (MBA)인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졸업에 필수적인 시험에서도 합격점을 받아냈다. 기술 업계에서는 지난해 11월 30일 공개된 챗GPT가 AI계의 표준이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한편 2023 세계경제포럼 (WEF, World Economic Forum)이 1월 16일부터 20일까지의 일정으로 개최되었다. 매년 1~2월경 스위스 동부의 다보스에서 연차총회가 개최되기 때문에 다보스포럼 (Davos Forum)이라고도 불린다. 다양한 주제와 관심사를 갖고 진행되는 올해 다보스포럼에서는 Generative AI (생성형, 창작형 AI)가 중요한 아젠다로 다루어지었고, 특히 Generative AI를 사회와 산업 분야에서 준비해야하는 게임 체인저로 보고 있다 (Generative AI: a game-changer that society and industry need to be ready for, WEF, 2023.1).

 

Generative AI는 언어 번역, 텍스트 요약 및 생성과 같은 일반적인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 현재 구상하고 있는 활용방안에는 검색 엔진의 새로운 아키텍처, 복잡한 알고리즘 설명, 처음부터 앱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개인화 된 치료 봇 (personalized therapy bots) 만들기, 조리법 작성 등이 포함되어 있다. 창의적인 영역을 넘어 Generative AI 모델은 컴퓨터공학과 같은 복잡한 과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능을 보여주고 있다 (자기지도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실행). 이와 같이 챗GPT를 시작으로 Generative AI 시대가 도래함을 알리고 있으며 마치 인터넷 등장 초기 처럼 새로운 AI의 시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에 해당 기술은 (ChatGPT/Smart Robots, Generative AI) 아래 2022년 발표된 가트너사의 하이프사이클에서 보여준 것처럼, 기술 관심 주기의 현재 위치에 따르면 과장된 기대의 절정 단계로 조기 투자 구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디어의 엄청난 홍보로 과잉열정과 비현실적인 기대감이 생겨나고, 성공사례가 몇 가지 생겨나 관심이 증폭된 (거품이 형성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해 ChatGPT / Generative AI 기술 분석결과를 투자 시 반영해야 할 것이다.

 

 

지난 포스팅에 1차로 2021년도 실적을 기반으로 12개 기업을 분석하였다 (아래 사이트 참조).

 

ChatGPT (Generative AI) 기업 현황/분석/포트폴리오 (tistory.com)

 

본 포스팅에서는 1차 분석 포트폴리오의 투자 지수에 근거해 선정된 7개 기업에 대해서 최근 5분기 실적을 기반으로 2차 분석을 진행하였다. 해당 기업의 최근 실적 분석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다. 여러 가지 이론적, 경험적 투자 / 포트폴리오 구축 핵심 원칙과 더불어, 각자의 투자 성향을 바탕으로 한 위기관리 기반의 분산 투자 포트폴리오 전략 및 구성이 요구된다.

 

1. 사업 근거  세계 경제 동향: DAVOS 2023
Annual Meeting Davos 2023 | World Economic Forum (weforum.org)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 World Economic Forum (weforum.org)
Generative AI
Generative AI – a game-changer society needs to be ready for | World Economic Forum (weforum.org)
Generative AI >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 World Economic Forum (weforum.org)
It’s
up to us to determine if generative AI helps or harms our world.
Jan 15, 2023

It’s up to us to determine if generative AI helps or harms our world | World Economic Forum (weforum.org)
국가 정책 수립: 제2차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가 한덕수 총리 주재로 2023년1월26일 개최
데이터 생태계 구축으로 AI가 일상화 되는 미..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기술 투자 동향: ChatGPT / Generative AI
Microsoft Word - 챗gpt3_KO_ver6.docx (miraeasset.com)
2. 기업 현황 AI 챗봇 (챗GPT 등) 테마별 시세 및 국내 상장사

출처: 네이버 증권
3. 분석 대상 12개 코스닥 상장 기업 중 (브릿지텍,  코난테크놀로지, 셀바스AI,  이스트소프트,  솔트룩스,  영림원소프트랩,  데이타솔루션, 플리토, 리노스, 글로벌텍스프리, 마인즈랩, 인포뱅크) 1차 분석 후 투자 지수 200이상의 7개 기업 선정: 영림원소프트랩,  인포뱅크,  데이터솔루션,  셀바스AI,  브리지텍,  이스트소프트, 리노스
4. 비즈맵  상장 테마주 기업 지수 (최근 5분기 자료 기반): 영업이익 (억) / 당기순이익 (억) / 매출액 (억)
참조: 네이버 증권 (naver.com)
5. 포트폴리오맵 비즈맵 기반: 투자 지수 설정 및 AI 챗봇 (챗GPT 등) 기업 대상 투자 포트폴리오 작성

 

1. 사업 근거: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2023' (다보스포럼 2023) 에서 챗GPT와 그 기반이 되는 인공지능 GPT기술이 큰 관심사가 되었다. AI 분야는 올해 열린 총회에서 뜨거운 화제였고 로이터 통신은 “2023년 다보스 포럼 회의장은 가장 뜨거운 주제인 채팅 GPT와 생성 AI에 대한 토론이 계속 지배했다”고 표현하였다. WEF는 앞서 총회를 앞두고 낸 보고서에서 생성 AI를 ‘게임 체인저’로 정의하고 사회와 산업 차원의 대비와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습니다. 더불어 보고서에는 지난해부터 각광받고 있는 생성 AI의 장점과 함께 위험성을 언급하면서 이 기술의 영향을 신중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담았다. 또 생성AI의 확산과 관련해 중앙집중식으로 ‘통제된 채택’ 방식을 취할 것인지 ‘분산된 배포’ 방식을 취할 것인지에 대해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제안도 했다. 

더불어 1월 26일 정부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서울 강남구 봉은사역 인근에 위치한 '하이퍼커넥트'에서 제2차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를 개최하였다.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 장관을 공동 간사로 두며 국가 데이터 정책 전반을 종합·심의하는 위원회다. 이날 2차 회의에서는 지난해 9월 발표된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의 후속조치로 '인공지능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과 함께 '제1차 데이터산업진흥 기본계획' 등이 논의되었다. 올해 과기정통부는 약 7129억원을 투입하여 AI를 일상과 산업 전반으로 확산하는 AI 10대 핵심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같이 AI 기반 혁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이를 적용한 국가 정책 및 사업의 태동이 이미 시작되었으며 이에 관련 기업 및 유망 기업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출처: 과기정통부, 7100억원 투입 "AI 초일류 강국으로 도약"---한덕수 총리 주재 회의 < AI·Data < 기사본문 - 하이테크정보 (hitech.co.kr)

 

2. 기업 현황:

국내 IT 대기업 중에선 네이버, 카카오 등이 초거대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챗GPT의 등장으로 AI와 결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출현이 전망되면서 솔트룩스, 브릿지텍, 마인즈랩 등 국내 유망 AI 서비스 업체들도 조명받고 있다. 인공지능 (AI) 챗봇, 챗GPT가 연초에 화두가 되어 국내 AI, 챗봇 관련주 주가는 급등 및 급락을 반복하리라 예측된다. 테마주의 경우 수급이 한 테마 안에서 짧은 시간 내에 실시간 이슈 종목을 옮겨가며 투자되는 경우가 많아,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것보다 종목 전체에 분산투자하는 것이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 하겠다. 이에 비즈맵, 투자 지수를 기반으로 하는 포트폴리오의 구성을 투자에 반영하는 것이 변동에 따른 리스크에 대한 대비책 이라 할 수 있겠다.

 

출처: 잘 나가던 ‘챗GPT’ 테마주 급락…솔트룩스 9%대 하락 [증시이슈] (economist.co.kr)

출처: 코난테크놀로지부터 플리토-솔트룩스까지...AI 열풍에 스타기업 '급부상' < 인프라 < 뉴스 < 기사본문 - 테크M (techm.kr)

출처: 1억 사용자 '챗GPT' 韓 대항마…네카오, AI기업 분전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3. 분석 대상:

아래 테이블은 위에서 소개된 AI 챗봇 (챗GPT 등) 테마 기업 중 1차 분석 후 투자 지수 200이상의 7개 선정 기업에 대한 2차 분석 자료이다 (기간: 2021년 3분기~2022년 3분기). 기업 지수로는 상장 테마주 비교 시 적합한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매출액을 선정하였다 (최근 5분기 평균) .

 

 

4. 비즈맵:

위에서 소개된 2차 분석 7개 선정 기업의 지수 정보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AI 챗봇 (챗GPT 등) 비즈맵을 구축하였다.

 

 

 

비즈맵을 이용한 비주얼 포트폴리오 구성은 아래와 같고 세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첫 째 그룹으로 당기 순이익 지수가 마이너스인 저성장 기업이다. 둘째 그룹은 점선 안쪽의  V-zone에 속한 기업으로 영업 이익 및 당기 순이익 지수가 모두 플러스이며 안정적인 성과 및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는 기업이라 하겠다. 마지막 그룹은 영업 이익 및 당기 순이익 지수가 모두 플러스인 그룹이나 당기 순이익이 V-zone 그룹보다 다소 낮은 그룹이다.

 

 

5. 포트폴리오맵:

위에서 구축한 최근 5분기 실적 기반의 AI 챗봇 (챗GPT 등) 테마 기업 비즈맵을 기반으로, 해당 기업 지수의 가중치를 (가중치 곱, 가중치 합) 근거로 계산한 투자 지수 기반의 포트폴리오맵을 구축하였다. 위에서 소개된 지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비즈맵에 기반한 비주얼 포트폴리오 구성과는 달리 세 가지 기업 지수의 가중치 곱 및 가중치 합을 기반으로 투자 지수를 도출하여 구축한 정량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이다. 포트폴리오맵에서도 위의 비즈맵에서 기업 지수에 따라 그룹을 나눈 바와 같이 투자 지수를 기반으로 효과 적인 분산 투자 결정을 위한 그룹을 설정할 수 있겠다 (예: 가중치 곱 투자 지수 0~10 그룹에 2 개 기업, 10~90 그룹에 3개 기업, 90 이상 그룹에 2개 기업). 

 

 

 

 

 

 

 

 

본 포스팅에서는 지난 1차 분석에 이어 최근 세계적 IT 기술 동향 및 국가 데이터 정책에 근거한 AI 챗봇 (챗GPT 등) 기술 기반 서비스 기업의 2차 투자 분석 및 이를 기반으로 구축한 2차 분석 포트폴리오를 소개하였다. 음 포스팅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에 근거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및 바이오 기술 기반 기업에 대한 분석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본 내용은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이며,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 및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