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2025년 2월 24일 현재 보유 중인 뮤직카우 음원 87곡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평가 수익률 및 2025년 1월 저작권료 정산에 대한 사례이다. 뮤직카우는 아티스트만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졌던 저작권료를 매월 받을 수 있고 동시에 연중 자유로운 거래로 추가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자산 음악 수익증권으로 디자인하였고 현재 관련 플랫폼을 통해 1,123 곡이 거래 중이다. 뮤직카우의 수익구조는 음악 수익증권을 통해 매월 저작권료 수익과 더불어 거래가격 변동에 따른 평가손익에 있다. 매월 정산되는 저작권료 배당수익은 새로운 재원으로 분류되며, 수요와 공급에 따른 음원 거래가격의 변동에 따른 평가 손익 또한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이다. 이에 연간 저작권료 및 저작권료 수익률에 근거해 보유 음원의 수익 현황 및 운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 그래프는 최근 1년 저작권료 평균 수익률 정보를 월별로 도식화한 표이다. 분포 범위는 9.9 ~ 15.5%이며 전월 저작권료 평균 수익률은 10.0%다.
더불어 아래 표는 현재 보유 중인 음원의 평가 손익률을 내림차수 및 올림차순으로 배열한 자료로, 해당 자료를 각각 10개 음원만 (best 10, worst 10) 선정하여 소개하였다. 2월 24일 현재 평가 손익률 분포 범위는 -43.9 ~ 492.0%이며 전체 보유곡의 평균 평가 손익률은 10.0%다.
같은 방식으로 아래 표는 현재 보유 중인 음원의 2025년 1월 저작권료 수익률을 내림차수 및 올림차순으로 배열한 자료로, 해당 자료를 각각 10개 음원만 (best 10, worst 10) 선정하였다. 1월 저작권료 수익률 분포 범위는 연 0.9 ~ 147.0%이며 전체 보유곡의 평균 저작권료 수익률은 연 10.0%다.
본 포스팅에서는 현재 보유 중인 뮤직카우 음원 87곡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평가 수익률 및 저작권료 수입에 대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2025년 2월 24일 현재 2025년 1월 평가 손익률 분포 범위는 -43.9 ~ 492.0% 이며 평균 평가 손익률은 10.0%이다. 이에 현재 총 수익률은 평가 손익률 및 저작권료 수익률을 포함한 20.0%로 지난 1월 포스팅의 21.4% 보다 조금 낮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 음원저작권 지수인 MCPI와 (전체 vs 최근 1년, 아래 적색라인 그래프), 코스피지수 (최근 1년, 아래 녹색라인 그래프)를 비교하면 아래 그래프와 같다. MCPI 동향 그래프 (전체 vs 최근 1년)에 따르면 최근 1년 MCPI는 박스권의 정체된 모습을 계속해서 보이고 있어 새로운 사업 발굴 및 운영에 따른 모멘텀에 의한 반등이 필요해 보인다. 이어서 코스피지수와 MCPI를 비교하면 각 지수간 뚜렷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지만 최근 6개월 동향이 전체적으로 하향화 후 올해 초부터 반등을 보이는 점은 유사한 움직임이라 하겠다. 이전에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음원지수와 경제지수와의 뚜렷한 상관관계는 찾기 힘들지만 보다 활성화된 음원 산업 및 다양한 음원 소비를 위해서 여는 투자지수와 더불어 안정적인 투자 환경이 요구됨을 추정해 본다.
계속해서 주요 음원의 수익증권 정보 및 기타 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더불어 음원 평가 지수와 투자 평가 지수의 상관관계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 효과적인 최적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자 한다.
# 본 내용은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이며,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 및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음원 투자 (음악 수익증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뮤직카우 음원 포트폴리오 및 2025년 3월 저작권료 정산 소개 (0) | 2025.04.19 |
---|---|
뮤직카우 음원 포트폴리오 및 2025년 2월 저작권료 정산 소개 (0) | 2025.03.25 |
뮤직카우 음원 포트폴리오 및 2024년 12월 저작권료 정산 소개 (0) | 2025.01.18 |
뮤직카우 음원 포트폴리오 및 11월 저작권료 정산 소개 (0) | 2024.12.22 |
뮤직카우 음원 포트폴리오 및 10월 저작권료 정산 소개 (1) | 2024.11.23 |
댓글